척추관협착증

홈으로_진료안내_척추질환_척추관협착증

요추관 협착증


목부터 허리까지 척추뼈 속에는 신경이 지나가는 둘째 손가락 굵기만 한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을 척추관이라고 합니다.

이 척추관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져 이 관에 있는 신경들이 눌려 혈액 순환이 나빠지고 신경 이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척추관 협착증 또는 퇴행성 전방전위증이라고도 합니다.

요추관 협착증의 증상

요추관 협착증은 척추 안에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협착증상은 통로의 모양 즉, 통로 크기를 감소시키는 노화 현상, 또는 척추뼈의 불안정성과 연관된 변화로 발생합니다. 척추관이나 신경을 보호하는 측면 통로가 좁아지면 척수 신경뿌리를 누르게 되며 관의 지름이 좁아짐에 따라 신경은 더욱더 자극을 받게 됩니다.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는 전혀 증상이 없지만, 오래 서 있거나 걸으면 양쪽 다리가 점점 터질 것처럼 아프고 저려서 오래 걷지 못하고 그 결과 가다 쉬고, 가다 쉬고 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요추관 협착증의 원인

요추 척추관 협착증의 원인으로는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선천적 협착증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나이에 따른 노화 현상인 퇴행성 척추관협착증입니다.

우리 몸이 노화되면서 척추와 디스크에도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척추관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조직들도 점차로 비후되어 신경 구멍이 점점 좁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척추협착증은 40대 후반부터 50~70대에 많이 발생합니다.

퇴행성 가운데 일부는 상하 척추가 서로 어긋나서 위에 있는 척추가 앞으로 미끄러져 있는 퇴행성 척추전전위증이 있는데 이것은 특이하게도 40~50대의 여자들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요추관 협착증의 진단과 치료

진찰과 병력청취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때로 방사선 검사가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증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 여러 검사로 확인하여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데 참조합니다.

요추협착증 예후는 좋은 편입니다. 요추 협착증 초기에는 침상 안정이나 물리치료만으로도 통증이 치유됩니다. 이때 약물 요법과 신경 치료를 함께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정 기간 안정 및 물리치료,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될 때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을 할 때에는 환자 상태에 맞는 적절한 수술법 선택이 가장 중요합니다.

요추관 협착증의 수술 방법

  • 최소 침습적 수술 방법
  • 요추 후궁절제술
  • 요추융합술
  • 척추 나사못 고정술
  • 척추 신경공 확장술